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 주 강릉에서 일어난 미사일 낙탄 사고로 주민들은 전쟁 난 것 아니냐며 불안한 밤을 보냈습니다. <br> <br>이렇게 전국에 주변 군부대로 인해 불안해하는 마을이 적지않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전남 장성에 있는 농촌 마을입니다. <br> <br>근처에는 군 부대 전차포 사격장이 있는데요. <br> <br>이곳 주민들은 소음 피해는 물론이고 두려움 속에 살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떤 사정이 있는지 현장으로 가봅니다.<br> <br>전차포 사격 훈련장에서 약 1km 떨어진 마을에 포탄 파편이 떨어진 건 지난 7월.<br> <br>길이 23.5cm의 파편은 가정집으로 날아들었습니다. <br> <br>[A 씨 / 주민] <br>"저기 보수 공사해줬잖아요. 지붕에. (포탄 파편이) 지붕을 뚫고 문으로 이만큼 박혔어요." <br><br>해당 부대는 포탄이 떨어지는 지대를 보강 공사한 뒤, 훈련을 재개했다고 밝혔지만, 당시 사고의 충격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[B 씨 / 주민] <br>"(인명 피해) 없으니 다행이지. 사람이 있었으면 어쩌려고. 다쳤지.불안하기는 하잖아 이제는. 포 쏘면 이거 그냥 쾅쾅 울려." <br><br>평택 미군기지와 하천을 마주하고 있는 충남 아산시 둔포면. <br> <br>주민들은 매일 수십 차례씩 들리는 전투기와 헬기 소음이 고통스럽습니다. <br> <br>[백락순 / 둔포면 군소음비상대책위원장] <br>"2~3분 간격으로 계속 날아다니니까 아주 시끄러워서 TV 소리도 하나 못 듣고. 야간자율 시간에도 학생들이 공부를 못한다고." <br><br>학교 앞에서 측정해보니 75데시벨로 시끄러운 사무실이나 지하철 차내 소음 수준까지 올라갔습니다.<br> <br>군은 올해부터 군 소음법에 따라 피해보상을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소음 측정 결과를 등고선 형태의 지도로 만든 뒤, 피해 정도에 따라 월 3만 원에서 6만 원을 보상하는 겁니다. <br><br>주민들은 형평성에 어긋나는 보상 기준이라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백락순 / 둔포면 군소음비상대책위원장] <br>"전봇대 사이를 두고 이쪽은 받고, 여기는 못 받고 그렇게 돼 있거든요. 같은 곳에 살면서도 이게 나뉘어 있으니까 주민들은 불만이 많죠." <br> <br>국방부도 문제점을 인식하고,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부대 이전이 가로막히는 사례도 있습니다. <br> <br>전주 시내에 있는 부대 이전 계획도 주민 반발에 부딪혀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. <br><br>이미 항공대대가 이전해 있는데, 추가로 이전해오면 피해가 더 커진다는 겁니다. <br><br>[한상진 / 이전 반대 비대위 사무국장] <br>"우리 마을과 (부대가 이전해올 지역) 경계선 거리가 140미터입니다.주민들은 살 수가 없죠." <br> <br>북한의 안보 위협 고조로 군의 훈련이 점점 중요해지는 상황. <br> <br>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권리도 보호하려면, 상시적인 대화 채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[심준섭 /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] <br>"정말 심각하게 공개가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라면 '언제 우리가 훈련하고 언제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' 주민들에게 양해를 구하고…. 주민 입장에서는 포항 재난 때도 보셨지만 군의 도움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이 있으니까." <br> <br>갈등을 키우기보다는 군과 민간,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는 방안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<br> <br>PD : 윤순용 장동하 <br>AD : 석동은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